백엔드 스쿨 후기
“코딩도 모르던 비전공자였지만, 지금은 앱 개발자가 되었죠”
백엔드 스쿨 | 이혜린 수강생

-
editor’s note “바쁘다 바빠 현대사회, 조금 더 게으른 당신의 삶을 위해” 하루에도 봐야 할 정보가 너무 많은 현대인들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웹 앱 ‘LAZIER’의 기획 의도입니다. 이런 앱을 컴공도 아닌 비전공자 수강생이 온라인 팀플로 만들었다면 믿어지시나요? 개발과는 거리가 먼 식품영양학과 출신인 혜린님이, ‘백엔드 스쿨 x 프론트엔드 스쿨 수강생 협업 프로젝트’를 통해 앱을 제작하고 실제 배포까지 이루어냈죠. 앱 개발자가 된 혜린님에게 LAZIER 출시 스토리를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Part 1. 막학기 취업을 준비하며 처음으로 프로그래밍에 도전했죠.
Q. 안녕하세요. 혜린님! 먼저 간단하게 소개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백엔드 스쿨 수강생이자 식품영양학을 전공한 이혜린입니다. 막학기 취업을 준비하면서 적성에 대한 고민을 하기 시작했고 학부 시절 관심 있던 프로그래밍에 도전하게 되었습니다. 졸업 후 국비 지원 교육을 통해 프론트엔드와 백엔드를 전반적으로 공부했고 백엔드 파트를 더 깊게 배우고자 제로베이스 백엔드 스쿨에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Q. 혜린님은 원래 컴퓨터공학과 전공이 아닌데 어떻게 개발에 관심을 가지게 되셨을까요?
학부생 시절 영양 평가를 목적으로 개발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거나 서포터즈 활동으로 전공과 관련된 앱을 기획하면서 프로그래밍에 대한 관심이 생겼고, 이후 식품과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가 등장하는 것을 지켜보면서 프로그래밍을 배우고 싶다는 생각으로 이어지게 된 것 같습니다.
Q. 첫 개발 공부는 어떻게 시작하셨나요?
당시 개발자라는 직무에 대한 이해도도 부족해서 여러 강의를 들으며 직접 코드를 짜보고 감을 익혀보는 식으로 학습을 시작하였습니다. 개발 툴을 설치하고 처음으로 만든 것이 HTML, CSS를 이용한 카카오톡 클론 코딩이었습니다. 이후 Javascript로 간단한 쇼핑몰과 크롬 앱을 구현하면서 웹 페이지는 어떻게 구성되는지 큰 그림을 그려볼 수 있었습니다. 처음으로 웹을 만드는 경험을 하면서 신기하고 재밌어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Part 2. 힘들 때도 있었지만, 확실한 성장을 느꼈습니다.
Q. 혜린님이 백엔드 스쿨을 선택하신 이유는 무엇인가요?
제가 부트캠프를 선택할 때는 제로베이스 외의 다른 부트캠프들은 학습 기간이 대부분 짧았습니다. 비전공자 입장에서 3개월 이내의 시간은 학습하기에 일정이 매우 촉박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제로베이스는 초반 3개월은 기초 개념을 배우며 기반을 다진 다음, 여러 기술 스택을 가르치고 프로젝트까지 진행하는 커리큘럼이었기 때문에 마음에 들었습니다. 어느 분야든 마찬가지겠지만 개발을 꾸준히 잘하기 위해서는 먼저 기초가 튼튼해야 하잖아요. 그래서 자료구조, 알고리즘, 네트워크, OS 등 기초 CS 지식에 3개월 동안 집중할 수 있다는 점이 마음에 들었고, 개인 프로젝트와 팀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점도 무척 기대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새로운 기술 스택에 대한 강의도 계속해서 업데이트되고 있어서,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능동적으로 공부할지 부트캠프 이후의 로드맵도 그릴 수 있어서 좋았던 것 같습니다.
Q. 비전공자로서 백엔드 스쿨을 따라가는 데 어려움은 없으셨나요?
물론 처음에는 힘들 때도 많았죠. 코드의 기본기를 다지기 위한 개념 중, 자료구조/알고리즘 파트가 가장 어려웠던 것 같아요. 매주 테스트를 보는 점이 긴장되었고 통과해야한다는 압박 때문에 부담되었습니다. 하지만 프로젝트로 넘어가면서, 앞서 기본기를 다졌기 때문에 프로젝트 파트는 수월하게 나아갈 수 있었고 피드백을 제공해주신 멘토님과 조원들 덕분에 어떤 코드가 유지보수와 성능 최적화를 위한 코드인지 고민하고 생각하는 습관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이것들은 기본기가 없으면 터득할 수 없는 습관이라고 생각합니다. 백엔드 스쿨의 커리큘럼을 따라가면서 힘들긴 했지만 확실히 성장하는 시간임을 느꼈습니다.
Part 3.팀원들과 화상 회의로 대화를 정말 많이 나눴죠.

(현재는 배포가 종료되어 이용이 불가능합니다.)
>> 관련 Notion 링크
>> GitHub 링크
Q. Lazier라는 서비스를 구상하시게 된 계기가 궁금해요.
현대인들은 하루에 파악할 정보 값이 많습니다. 주식 정보를 확인하려면 주식 사이트를, 뉴스를 보려면 뉴스 사이트를 통해 그날의 필요한 데이터를 확인하지만 해당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가 보는 정보는 아주 단순합니다. 그리하여 바쁘게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을 위해 관심있는 나의 정보와 일정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기획했습니다.
Q. ‘백엔드 스쿨 x 프론트엔드 스쿨’ 수강생 협업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어려운 점은 없으셨나요?
각 영역이 다르고 서로의 분야에 대한 이해도 부족했기 때문에 처음엔 의사소통이 어려웠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 저희는 구글 밋이나 게더타운과 같은 화상 회의 플랫폼을 통해 개발뿐 아니라 개발 외의 대화들도 많이 하고자 했습니다. 그러면서 서로의 분야에 대한 지식을 얻을 수 있었고 연동 작업이나 이슈를 해결할 때 함께 문제를 찾아가면서 빠르게 피드백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또 스케줄 조정에 있어서는 백로그와 칸반보드를 활용하여 팀원들의 일정과 프로젝트 전체의 일정을 파악하고 조율하여 일정 내에 구현을 완성할 수 있었습니다.

혜린님이 맡았던 개발 영역 소개 영상 (회원정보 수정, 비밀번호 변경, 회원 탈퇴)
Q. 실제 서비스 배포 후 운영까지 해보면서 느끼게 된 점이 있으실까요?
실제 사용자들이 전달한 피드백을 통해 서비스를 구상할 때 사용자 중심에서 생각할 수 있는 경험을 하게 되었습니다. 구글 로그인 시 나타나는 서버 도메인을 서비스명으로 바꾸어 혹시 사용자가 서비스의 이름 망각한 채로 로그인을 하게 되어 해당 화면에서 이탈하는 케이스를 예방하는 점이 대표적인 피드백 중 하나였습니다.
Q. 포트폴리오는 어떻게 준비하고 계신지 살짝 들어봐도 될까요?
포트폴리오는 총 두 개의 프로젝트로 준비했습니다. 팀 프로젝트 이전에 학습했던 개인 프로젝트를 더 다듬어 포트폴리오에 추가하였습니다. 개인적으로 개인 프로젝트 때도 힘을 실어 포트폴리오로 만드는 방법도 좋은 것 같습니다. 팀 프로젝트는 데모 발표(프로젝트 발표) 때 만들었던 틀을 기반으로 작성했고 이번 테스트 서버를 통해 얻은 경험에 대한 내용을 포트폴리오에 추가할 예정입니다.
Q. 앞으로의 목표가 궁금해요!
잘하는 개발자가 되는 것이 목표입니다. 현재 취업을 위한 과제나 면접을 진행하고 있는데 확실히 이론이 정말 중요하다는 것을 느끼고 있어요.단단한 기반 지식을 바탕으로, 계속해서 실력적으로 성장하는 개발자가 되고 싶습니다!